Dev_Study 99

HTML DOM 메소드

✔ HTML DOM 메서드는 HTML 요소에서 수행 할 수 있는 작업 입니다. ✔ HTML DOM 속성은 설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값 (HTML 요소의)입니다. ✔ DOM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 HTML DOM은 JavaScript (및 기타 프로그래밍 언어)로 액세스 할 수 있습니다. - DOM에서 모든 HTML 요소는 객체 로 정의됩니다. -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는 각 개체의 속성 및 메서드입니다. - 메서드( method )는 당신이 (추가 또는 HTML 요소를 삭제 등) 할 수있는 작업입니다. - 속성( property )은 당신이 (HTML 요소의 내용을 변경하는 등) 가져 오거나 설정할 수있는 값입니다. // id로 접근시 document.getElementById("id") // name..

BOM - Window

✔ BOM ( The Browser Object Model ) BOM은 JavaScript가 브라우저와 "대화"할 수 있도록합니다. ✔ window Object window객체는 모든 브라우저에서 지원되며 브라우저에서 열린 창을 나타냅니다. 모든 전역 JavaScript 개체, 함수 및 변수는 자동으로 window객체의 구성원이 됩니다. window객체의 메서드는 전역 함수 입니다. window객체의 속성은 전역 변수 입니다. HTML DOM의 document객체조차도 window객체의 속성입니다. 따라서 window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window.document.getElementById("header"); 와 document.getElementById("header"); 는 같다 출처 : http..

HTML DOM ( Document Object Model )

✔ DOM이란? ( Document Object Model ) - DOM은 W3C ( World Wide Web Consortium ) 표준입니다. - DOM은 문서에 액세스하기위한 표준을 정의합니다. - DOM은 프로그램과 스크립트가 문서의 콘텐츠, 구조 및 스타일에 동적으로 액세스하고 업데이트 할 수 있도록하는 플랫폼 및 언어 중립적 인터페이스입니다. - 웹 페이지가 로드 될 때, 브라우저가 해당 페이지의 DOM 객체를 생성합니다. ✔ HTML DOM이란? - HTML DOM은 HTML 요소를 가져오고, 변경하고, 추가 또는 삭제하는 방법에 대한 표준입니다. - HTML DOM은 HTML을위한 표준 개체 모델 및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입니다. 다음을 정의합니다. ◾ 개체 로서의 HTML 요소 ◾ 모든..

JavaScript 버전

JavaScript는 1995 년 Brendan Eich에 의해 발명되었으며 1997 년 ECMA 표준이되었습니다. ECMAScript는 언어의 공식 이름입니다. ECMAScript 버전은 ES1, ES2, ES3, ES5 및 ES6으로 축약되었습니다. 2016 년 이후 새 버전은 연도별로 이름이 지정됩니다 (ECMAScript 2016/2017/2018). ECMAScript 버전 Ver 공식 이름 기술 ES1 ECMAScript 1 (1997) First edition ES2 ECMAScript 2 (1998) Editorial changes ES3 ECMAScript 3 (1999) Added regular expressions Added try/catch ES4 ECMAScript 4 Never ..

[React] 3. 프로젝트 배포하기

1. 배포할 프로젝트 경로에서 명령어를 통해 프로젝트 빌드를 해줌( build폴더가 생성됨 ) npm run build # npm을 통해 serve라는 웹서버를 설치하는 명령어 npm install -g serve # serve웹서버 실행시 DocumentRoot를 build 폴더로 지정하는 명령어 serve -s build 2. public폴더 밑의 index.html파일의 내용이 빌드되어 bulid폴더 밑의 index.html로 생성됨 3. 웹서버의 최상위 경로(Document Root)에 생성된 build폴더밑의 파일들을 넣어주면된다 4. npm serve를 이용해 배포후 테스트 -serve웹서버 실행시 DocumentRoot를 build폴더로 npx serve -s build

Dev_Study/React 2021.01.22

[React] 2. 프로젝트 구조

1. create-react-app 명령어로 react프로젝트 생성후 보여지는 첫화면은 index.html이다 2. index.html의 id가 root인 엘리먼트의 밑으로 컴포넌트들이 들어가게된다 이유는 index.js에 작성되어있다 3. 리액트의 진입파일은 index.js이고 id가 root인 엘리먼트에 렌더링 되도록 작성되어있다 4. App은 App.js를 뜻하며 리액트 컴포넌트이다 5. App.js 컴포넌트가 id가 root인 엘리먼트 밑으로 렌더링 된것을 확인할 수 있다 6. App.js 컴포넌트를 수정하여 내용이 변경되는것 확인

Dev_Study/React 2021.01.22

[React-Native] 2. Splash Screen(실행화면) 추가하기

# 안드로이드 기준 1. react-native-splash-screen 라이브러리 추가 -해당 프로젝트경로에서 실행 npm i react-native-splash-screen --save 2. react-native-splash-screen 라이브러리 확인 -package.json 확인 3. MainActivity.java에 코드 추가 3-1. import 추가 // react-native-splash-screen >= 0.3.1 import org.devio.rn.splashscreen.SplashScreenReactPackage; 3-2. onCreate 추가 @Override protected void onCreate(Bundle savedInstanceState) { SplashScreen.sh..

[React-Native] 1. 프로젝트 생성하기

# 안드로이드sdk, 가상에뮬레이터 설치과정은 생략 1. Node.js 설치하기 nodejs.org/ko/ Node.js Node.js® is a JavaScript runtime built on Chrome's V8 JavaScript engine. nodejs.org 2. Node.js 설치확인 node -v 3. React-Native-Cli 설치 npm install -g react-native-cli 4. React-Native-Cli 설치확인 react-native -v 5. React-Native 프로젝트 생성 -프로젝트가 생성되는 경로를 확인 react-native init TestProject 6. React-Native 프로젝트 실행 react-native run-android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