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단하게 위 그림을 설명하자면 카카오API사용을 위한 단계는 다음과 같다 1. API사용을 위해서는 사용자token이 필요하다 2. 사용자token을 발급받기 위해서는 사용자 인가code가 필요하다 3. 따라서 API를 사용하기위한 순서는 사용자 인가로 code획득 > code를 이용해 token발급 > token을 이용해 API요청
이번 글에서는 카카오톡 메시지전송API를 사용하기 위해 Step1.인가코드받기를 받기위한 사전설정을 하겠다 -플랫폼 등록 -카카오 로그인 활성화 -RedirectURI 등록 -동의항목
[ 1-1. 플랫폼 등록 ] [내 애플리케이션] 페이지에 접속해 애플리케이션 추가하기를 해준다 API사용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추가하기
애플리케이션 추가하기 화면이 뜨면 -앱이름 -회사명 -카테고리 값을 입력해주고(test용으로 쓸거기때문에 대충입력) 체크박스에 체크한뒤 저장을 눌러준다 생성될 애플리케이션 정보 입력하기
애플리케이션이 추가가 된 화면
[ 1-2. 카카오 로그인 활성화 ]
[ 내 애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생성된 앱을 눌러준다 생성된 앱을 눌러준다 그러면 [내 애플리케이션] > [앱 설정] > [대시보드] 화면으로 넘어오게되는데 좌측 상단의 메뉴버튼을 눌러준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앞으로 이 좌측상단 메뉴를 [앱메뉴] 라고 부르겠다 앱 대시보드 화면 메뉴가 보여지면 카카오 로그인 메뉴를 클릭해준다 카카오 로그인 메뉴 클릭하기 활성화 설정 상태가 OFF로 되어있는데 클릭해서 ON으로 변경해준다 OFF를 클릭해서 상태를 ON으로 변경해준다 클릭후 아래화면이 뜨는데 활성화 를 눌러준다 카카오 로그인 활성화 하기카카오 로그인 활성화 ON으로 변경 완료
[ 1-2. Redirect URI 등록하기 ] 카카오 REST API 사용시 필요한 토큰을 받기위한 리다이렉트 주소를 등록해줘야한다 [카카오 로그인] 페이지의 하단에서 등록 가능하다
토큰을 받기 위한 RedirectURI 등록하기
등록화면은 다음과 같고 본인이 원하는 주소를 입력하고 저장해준다
( 내가 응답받을 테스트URL 값을 입력했다 )
[ 1-3. 웹플랫폼 등록하기 ]
[앱메뉴]를 다시 눌러서 [플랫폼] 페이지로 이동한다 앱메뉴 클릭플랫폼 페이지로 이동하기 [플랫폼] 페이지에 접속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보여지는데 나는 Web으로 REST API를 사용할거기때문에 Web플랫폼등록 버튼을 눌러준다 Web플랫폼등록 [Web플랫폼등록]화면이 보여지면 본인이 카카오톡 인가코드를 응답받을 리다이렉트 URL을 입력해준다 아래는 내가 응답받을 주소이다 카카오톡 로그인시 리다이렉트 될 URL 등록하기저장후 완료된 화면[ 1-4. 동의항목 선택하기 ] 리다이렉트 URL을 등록완료했으면 다시 [앱메뉴]를 눌러준다 [동의항목] 메뉴를 눌러준다 동의항목 페이지로 이동하기
[동의항목] 페이지에 접근화면 다음화면이 보여질텐데 동의항목 페이지 화면
여기서 2가지의 설정을 기존값의 사용안함에서 -> "이용 중 동의" 로 변경해줘야 한다 1.카카오 서비스 내 친구목록 값 변경 2.카카오톡 메시지 전송 값 변경
먼저 카카오 서비스 내 친구목록의 값을 변경하기 위해 우측의 설정 버튼을 눌러준다 카카오 서비스 내 친구목록 상태값 초기 화면
처음화면은 위와 같이 나올텐데 아래화면과 같이 변경하고 저장버튼을 눌러준다 동의단계 : 이용 중 동의 동의목적 : TEST(테스트므로 아무거나 입력) 카카오 서비스 내 친구목록 동의단계 변경후 저장하기
마찬가지로 카카오톡 메시지 전송도 설정버튼을 클릭하여 동일하게 변경해준다 카카오톡 메시지 전송 동의단계 변경후 저장하기 -카카오 서비스 내 친구목록 -카카오톡 메세지 전송 의 동의단계가 변경완료 된 화면 동의단계가 정상변경된 화면지금까지 모두 완료했다면 카카오개발자 페이지에서 선행해야하는 작업은 모두 완료한 상태이다 REST API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서 다음글을 참고하자 [2/2]카카오톡 메시지 전송API 이용하기